기상청은 《삼국사기》 《고려사절요》 《고려사》 《조선왕조실록》 《증보문헌비고》 《승정원일기》 《일성록》 《풍운기》 《천변초출승록》, 개인문집, 지방지 등에 기록된 지진을 정밀분석하고 각 지진 현상의 발생 일자, 발생위치(위·경도)와 진도를 정리하여 『한반도 역사지진 기록 (2년~1904년)』으로 집대성하였다.
역사지진에 대한 조사는 관측역사가 짧은 지진계 기록으로는 추정하기 힘든 대지진의 재현주기를 알려주는 하나의 단서가 되며, 이러한 조사가 집대성된 「한반도 역사지진 기록 (2년~1904년)」은 앞으로 한반도에서 발생할 지진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.
※ 출처 : 「한반도 역사지진 기록 (2년~1904년)」 국립기상연구소(2012)
발생일자 | 위도 | 경도 | 주요 기록 |
---|---|---|---|
89. 6. - (百濟 己婁 13. 6. -) | 37.5 | 127.1 | 민가가 무너져 사망자 다수 |
100. 10. - (新羅 婆娑 21. 10. -) | 35.8 | 129.2 | 민가가 무너져 사망자 발생 |
304. 9. - (新羅 基臨 7. 9. -) | 35.8 | 129.2 | 샘물이 솟구침 |
502. 12. - (高句麗 文咨 11. 12.) | 39.0 | 125.8 | 집이 무너지고 사망자 발생 |
510. 5. - (新羅 智證 11. 5. -) | 35.8 | 129.2 | 집이 무너지고 사망자 발생 |
779. 3. - (惠恭 15. 3. -) | 35.8 | 129.2 | 민가가 무너지고 사망자 100여명 발생 |
1455. 1. 15. (端宗 2. 12. 28.) | 35.0 | 127.3 | 담과 가옥이 무너지고 사람이 깔려 사망함 |
1518. 6. 22. (中宗 13. 5. 15.) | 37.6 | 127.0 | 팔도에서 성과 집이 무너짐 |
1568. 11. 19. (宣祖 1. 11. 1.) | - | - | 팔도에 지진 발생 |
1643. 6. 9. (仁祖 21. 4. 23.) | 35.6 | 128.2 | 땅이 갈라지고 바위가 떨어져 압사당한 사람이 있음 |
1643. 7. 24. (仁祖 21. 6. 9.) | 35.5 | 129.5 | 성벽이 무너지고 큰 파도가 육지로 나왔다가 되돌아가는 듯함 |
1681. 6. 26. (肅宗 7. 5. 11.) | 37.9 | 129.1 | 거암이 붕괴되고 바닷물이 조수가 밀려가는 듯함 |
1714. 3. 15. (肅宗 40. 1. 30.) | 38.0 | 126.6 | 팔도에서 지진으로 장문함 |
1727. 6. 20. (英祖 3. 5. 2.) | 39.9 | 127.5 | 가옥과 성첩이 많이 부서지고 내려앉음 |
1810. 2. 19. (純祖 10. 1. 16.) | 42.1 | 129.7 | 성첩이 무너지고 산기슭 사태로 사람과 가축이 깔려 죽음 |
※ 지역 선택이 안 될 경우: 클릭
※ '24.5.30. 이전에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을 관심지역에 추가하신 분은 행정동 코드변경(45→52)에 따라 기존 관심지역을 삭제하시고 새로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