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
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본청

2016 사진전입상작, 최종국 [태양과 가로등]

> 보도자료 > 본청

[2024/25년 겨울철 기후특성] 이례적인 늦겨울 추위, 강수량은 평년 절반에도 못 미쳐

등록부서 : 기후변화감시과 2025/03/05 조회수 708

[2024/25년 겨울철 기후특성]

이례적인 늦겨울 추위, 강수량은 평년 절반에도 못 미쳐

평균기온은 0.4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나, 1월에 큰 기온 변동2월 두 차례 추위 지속

- 강수량 39.6mm, 평년 대비 43.6% 수준이었으나, 눈일수 21.9일로 평년보다 6.0일 많았음

- 해수면온도 최근 10년 대비 0.2높은 12.4로 최근 10년 중 2

 

기상청(청장 장동언)2024/25년 겨울철(202412~20252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 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.


[기온겨울철 전국 평균기온은 0.4로 평년(0.5)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, 작년(2.4, 1973년 이래 2*)보다 2.0낮았다. 202412월부터 20251초까지 대체로 평년 수준의 기온을 보이다가, 이후 기온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고2월에는 일주일 이상 지속된 추위가 두 차례 발생하였다.

역대 순위는 기상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시기인 1973년부터 2024년까지52년 중의 순위이며,전국 평균값 산출에 활용한 관측지점은 62곳임


(1월 큰 기온 변동) 북극진동으로 인해 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 상층 찬 기압골영향으로 한파가 발생했으나, 13일 이후에는 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랐다.

1월 동안 서울의 일평균기온 최저는 9일에 -9.7, 최고는 25일에 5.214.9의 큰 변동폭을 보였음

20251월 이상고온 발생일(62개 지점 중 50% 이상 지점에서 일최고기온이 이상고온이 나타났던 날): 114, 19, 22~25(6)


(2월 이례적 추위) 북대서양 폭풍 저기압*의 북극 유입으로 인한 우랄블로킹 발달 등의 영향으로, 봄이 온다는 입춘(3일부터 10일까지)과 얼음이 녹는다는 우수(18일부터 24일까지)에 추위가 각각 일주일 이상 지속되었다. 그 결과 2월 평균기온은 0.5로 평년보다 1.7낮았고(하위 15), 최근 10(2016~2025) 중 가장 낮았다.


* 북대서양(그린란드 남쪽 해양)에서 경압불안정(해수면온도의 큰 남북차이, 강한 바람 등으로 인해 대기가 불안정해지는 상태)이 커져 강하게 발달한 저기압(중심기압 900~950hPa로 발달)

20252월 이상저온 발생일(62개 지점 중 50% 이상 지점에서 일최저기온이 이상저온이 나타났던 날): 25~9, 24(6)

□ [강수량겨울철 강수량39.6mm로 평년 대비 43.6%*수준으로 역대 하위 4위였으며, 역대 1위로 많았던 작년(236.7mm)과 비교하면 1/6 수준이었다

겨울철 강수량 하위 순위: (1) 2021/2213.3mm, (2) 1987/8828.3mm, (3) 1983/8432.5mm

* 62개 지점별 평년비를 전국 평균한 값임


(잦은 눈차고 건조한 북풍이 우리나라로 자주 불어 강수량은 적었으나, 대륙고기압 확장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서해상에서 해기차(바닷물과대기의 온도 차)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이 유입되어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이 자주 내렸다. 전국 눈일수는 21.9*로 평년보다 6.0일 많았지만(역대 4), 내린 눈의 양은 27.4cm**로 평년(25.9cm)과 비슷하였다.

설 연휴 기간(127~29)에는 수도권 및 충청, 전라 지역에 지난 겨울철 중 가장 많은 양의 눈이 내렸음

목측 통계 산출 13개 지점(북강릉, 서울, 인천, 수원, 청주, 대전, 포항, 전주, 울산, 광주, 부산, 목포, 여수)의 눈일수를 평균한 값임

** 3시간마다 관측한 새로 내린 눈의 높이(3시간 신적설)를 세 달간 합계한 값임


[해수면온도겨울철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온도*12.4최근 10년 평균보다 0.2높았으며, 최근 10년 중 두 번째로 높았다(1: 201912.8).

12월과 115.3, 12.1최근 10년 평균보다 각각 1.0, 0.2℃ 높았으나, 늦겨울 추위가 발생했던 2월은 9.90.4℃ 낮았다.

해역별로는 서해가 8.4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.8높았고, 동해는 13.70.1℃ 높았으며, 남해는 15.10.1℃ 낮았음


* 해양기상 특보를 발표하는 해역 내 최근 10(2015~2024) 이상 관측자료가 확보된 기상청 해양기상부이 11개 지점을 활용함


장동언 기상청장은 지난 연휴 비와 눈이 내리면서 매우 건조한 대기 상태가 일부 해소되기도 했지만, 봄철에는 여전히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철저한 대비가 필요합니다.”라며,지난 겨울철에도 1월 고온과 늦겨울 추위 등 변화무쌍한 날씨가 나타났고, 앞으로도 기후 변동성은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기상청은 이상기후 현상을 면밀히 감시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여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 다하겠습니다.라고 밝혔다.

 

 

보도자료 배너 이미지

목록보기